본문 바로가기

정보

소득 불균형의 심화가 명품 소비에 미치는 영향

반응형

요즘 주변을 둘러보면 명품 가방을 들거나 외제차를 운전하는 사람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너무 흔해서 때때로 우리는 그것이 당연하다고 느낄 정도입니다. 하지만 이전의 우리가 살아온 사회와 비교해보면 사치품을 소비하는 경향이 월등히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소비 성향이 상류층이 아닌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 놀랍습니다. 그렇다면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명품의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소득 불균형의 심화가 명품 소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떨까요?

 

[특정 계층으로 보이기 위한 노력]

소득 불균형이 심한 곳에서는 소득이 낮은 사람들의 사회적 스트레스가 높습니다. 사회적 계층에서 그들의 낮은 위치는 더 분명하고 더 명확히 나뉩니다. 이에 회피하기 위한 일환으로 일부 가난한 사람들은 재력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사회적으로 여유 있어 보이기 위한 상품을 구매하곤 합니다. 왜냐하면 타인으로부터 자신의 부족한 재력 상황을 들키고 싶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들은 타인에게 비싸고 눈에 띄는 상품을 구입하고 싶어 합니다. 이러한 행동이 Google 검색 트렌드를 조사한 결과, 소득 불균형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의 사람들이 다른 지역의 사람들보다 명품 브랜드를 검색하는 양이 더 높다는 것을 통해서 증명되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가난한 사람으로 보는 것을 원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보이지 않기 위해 브랜드 가방이나 시계를 구입하는 것은 분명 건강하지 못한 방법입니다. 소득을 뛰어넘는 소비는 빚으로 이어질 수 있고 그러한 허영으로 쌓은 자존심은 오히려 본인을 잡아먹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매스컴에 노출되는 다양한 시각 정보]

요즘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우리 사회 전반의 모든 것을 시시각각으로 받아 들일 수 있습니다. 예컨대, TV 프로그램에서 연예인들의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통해 그들의 넓고 좋은 집, 고급스러운 명품들, 값비싼 차량 등을 시청하면서 자연스럽게 관심을 갖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계층으로 도달하기 위해 우리는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을 북돋아 줄 수 있는 것이 우리가 그토록 갖고 싶었던 어떤 무언가(명품)입니다. 몇 달 동안, 혹은 몇 년 동안 노력하여 그것을 사는 것은 우리가 꿈을 이루었다는 의미가 될 것입니다. 앞서 언급한 사례들과는 달리 우리가 더 많은 것을 꿈꾸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마침내 그것을 얻음으로써 우리의 근본적인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코로나 19로 인한 반대급부]

우리는 방학 혹은 휴가동안 해외여행을 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았습니다. 여행을 위해 적금을 하는 경우도 흔치 않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 19로 인해 하늘길이 막힌 현재, 우리는 여행을 통해 소비해온 우리의 스트레스 분출구를 잃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소비를 대신하게 된 것이 명품, 자동차, 시계 등 사치품이 되었습니다. 저소득층은 생업에 종사하면서 일정한 소득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소득이 있는 경우에도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 여행을 꿈꾸는 것은 언감생심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모두가 여행을 하지 못하게 된 지금 유일한 일탈이 된 사치품의 소비는 생업에 종사하는 시간과 상관없이 소비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장점 때문에 상대적으로 소득이 높은 계층과 비슷한 사치를 누릴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사치품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시사점]

소득 불균형이 심할수록 높은 계층으로 올라갈 수 있는 사회적 사다리는 더 가파르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다른 계급으로 들어가고 싶은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특정 계층의 소비 패턴만 따라 한다고 해서 달라질 것은 어느 것도 없습니다. 아니, 벌어들인 수입을 넘어 소비하게 되어 그 격차가 더욱 심화될 수 있다는 것을 우리는 명심해야 합니다. 동기부여를 위한 명품의 소비라는 긍정적인 부분이 아닌 허영심을 채우기 위한 사치품의 소비는 우리의 자존감을 더욱 갉아먹을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반응형